무엇을 찾고 계신가요?
1 위험성 평가 중심의 자기 규율 예방 체계 확립
2 중소기업 등 중대재해 취약분야 집중지원 관리
3 참여와 협력을 통한 안전의식 · 문화 확산
4 산업 안전 거버넌스 재정비
전략 1
위험성 평가 중심의 자기 규율 예방 체계 확립 → 예방과 재발 방지를 위한 핵심 수단으로 위험성 평가 개선
“핵심 위험 요인” 발굴 · 개선과 “재발 방지” 중심
미실시, 북정 위험성 평가에 대한 시정 명령 또는 벌칙 신설
2023년 300인 이상
2024년 50~299인
2025년 5~49인
평가 방식
쉽고 간편한 체크리스트, OPS(One Point Sheet) 방식 등 개발 · 보급
재발 방지
재해 조사 의견서 공개
→ 공적 자원으로 활용
근로자 참여
全 단계 노 · 사 참여 및 협업 강화
현장 공유
작업 전 안전점검회의 (TBM) 활성화
월-주-일 3단계 상시 공유 체계
전략 2
중소기업 등 중대재해 취약 분야 집중 지원 · 관리
규모 50인 미만
80.9%
[ 기업 규모별 중대재해
발생 비율 ]
건설 · 제조업
72.6%
[ 업종별 중대재해
발생 비율 ]
「안전 일터 패키지」 프로그램 종합 지원
안전보건
기초진단
기초 컨설팅
시설 개선 지원
심층 컨설팅
맞춤형 시설 · 인력 지원 강화
산업단지 특화 공동 안전 보건 관리자 지원
「화학 안전 보건 종합 센터」 신설
위험한 작업 환경 개선을 위한 스마트 예방 지원
[ AI 카메라 ]
[ 인공지능 인체 감지 ]
[ 추락보호복 ]
‘Safe & Smart Factorty’ 신설 · 지원
→ 설비 · 장비 단계에서부터 안전 장치 내장 유도
근로자 안전 확보 용도 CCTV 설치 제도화
전략 3
참여와 협력을 통한 안전의식 · 문화 확산
근로자의 안전 보건 책임과
참여 강화
안전 문화 캠페인 확산
중앙 ‘노사정 안전 일터’ 공동 선언
지역 ‘안전문화실천 추진단’ 운영
업종 위험요인 · 시기별 특화 캠페인
현장 중심 안전 보건 교육 강화
학령기 초 · 중 · 고 대학 단계별 안전보건교육 실시
구직자 직업훈련 시 안전보건교육 포함
근로자 현장 TBM 안전보건교육 이수 시간 인정
CEO 안전보건교육 기회 제공 (50인 미만 소기업)
전략 4
산업 안전 거버넌스 재정비
산재 예방 전문 기관 기능 재조정
민간 재해 예방기관
「안전보건 종합 컨설팅 기관」육성
안전 공단
중소기업 지원 기능 강화
위험성평가제 전담 조직 신설
중앙-지역 간 협업 거버넌스 구축
지역
협의체
비상 대응 및 상황 공유 체계 정비
응급의료 비상 대응 체계 정비
초동조치
현장 비상
대응
응급처치
진료
일터 복귀
지원
중대재해 상황 공유 및 정보 관리 체계 구축